LG전자가 스마트폰사업을 대폭 축소하는데 사업을 매각하거나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누적적자만 5조원에 달할 정도로 ‘애물단지’가 된 스마트폰사업의 전면 구조조정에 들어갔다는 분석입니다.
LG전자는 20일 권봉석 사장 명의로 발표한 사내 메시지를 통해 “모바일사업과 관련해 현재와 미래의 경쟁력을 냉정하게 판단해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업 운영 방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권 사장은 스마트폰사업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 직원들에게 “사업 운영의 방향이 어떻게 정해지더라도 원칙적으로 고용은 유지하니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며 “사업 운영 방향이 결정되는 대로 소통하겠다”고 했습니다.
업계에서는 LG전자가 스마트폰 선행기술 연구개발(R&D) 등 일부 기능만 남길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데 업계 관계자는 “MC사업본부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 제조와 마케팅”이라며 “이를 포기하고 스마트폰 설계 회사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MC사업본부는 2015년 2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2019년 국내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하고 MC사업본부 인력을 다른 사업부로 전환 배치해 몸집을 줄이는 등의 조치가 이어졌지만 영업이익은 계속 마이너스에 머물렀습니다.
LG전자는 1989년 휴대폰 사업을 시작했는데 현재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2% 선으로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서도 애플과 삼성전자에 밀리고 있습니다.
중저가폰 시장에서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도전에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데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의 물량 공세를 당해내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지난해 야심 차게 선보인 이형 폼팩터폰 LG윙 역시 판매량이 10만 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달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1’에서 예고한 롤러블폰이 제때 출시될지도 미지수로 롤러블폰은 디스플레이 양 끝을 둘둘 말아 화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제품인데 회사 관계자는 “현재는 결정된 것이 없어 롤러블폰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LG전자를 넘어 LG그룹 전체의 계륵같은 사업부가 스마트폰 사업부였는데 옛날 핏처폰 때의 영광을 생각하면 포기하기 아까운 사업부지만 누적 적자가 5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사업을 계속 유지하는 건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업계에선 지난해부터 그룹 주요 계열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에 나섰던 구광모 회장(사진)이 ‘결단’을 내렸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는 몇 년 전만 해도 중국 화웨이에 좋은 조건 매각할 수 있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인지도가 있었지만 이제는 애플과 삼성전자에 치이고 중국 화웨이와 샤오미의 성장으로 입지가 좁아져 버렸습니다
LG전자 오너경영의 실패사례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사업은 경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오너들이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배가 산으로 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시장에 말만 무성하던 LG전자의 그마트폰 사업 포기가 구광모 회장의 결단으로 가시화 되는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15만 6천명 추가지급(1/25부터 신청) 알아보기 (1) | 2021.01.25 |
---|---|
6월부터 제한적 공매도 허용, 동학개미가 쌓은 '9만전자' (3) | 2021.01.21 |
`빚투` 막아라…당국 대출 조인다... 신한은행, 한도 5000만원 축소 (0) | 2021.01.16 |
코로나19 거리두기 새 조정안 발표… 헬스장 등 운영 (0) | 2021.01.16 |
내일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오전 11시 브리핑입니다~ (1)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