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용어

'교환사채'에 관한 핵심 내용

반응형

[실전 주식 용어 - 교환사채]

 

 

<1. 교환사채란?>

 

교환사채란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또는 다른 회사 주식을 특정 가격에 교환해 주기로 하고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한다.

교환사채를 사간 투자자가 채권을 주식으로 교환하게 되면, 발생사의 입장에서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유가증권(주식)을 넘겨 주

어야 하므로 회사의 자산이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회사가 부채로 안고 있던 사채(교환사채)가 주식을 넘겨주면서 사라지는 것이

므로 회사의 부채도 동시에 감소하게 된다. 교환사채의 장점은 일반사채와 달리, 주식과의 교환권을 부여함으로써 장래 주

식가격의 상승에 따른 투자수익의 기대와 그 대가로써 사채의 이자율을 다소 낮게 책정하여 기업의 자금조달비용을 경

감하고 동시에 사채 발행으로 자금의 조달을 촉진할 수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2. 교환사채의 특징>

 

* 해당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신주를 인수' 받는게 아니라, 해당 기업이 소유한 제 3의 주식과 교환한다는 점이다.
* 신주인수권부사채처럼, 추가적인 인수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점도 주요 특징이 있다.
* 처음 약정한 주식으로 교환이 가능한 채권이 바로 교환사채이다.
* 교환사채의 경우, 보유주식의 가치보다 높게 발행이 되기 때문에, 당장의 교환이익은 없다.
* 교환대상의 주식 가치가 높아질 경우에 추가적인 수익이 가능한 것이다.
* 교환대상의 주식이 상승하지 않는다면, 교환사채를 유지해서 채권이자 수익을 얻으면 된다.
* 채권만 봤을 때의 교환사채 수익은 다른 일반 회사채에 비해 수익이 낮다.

 

 

<3. 교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차이>

 

* 교환사채(EB:exchangeable bond) (전환시 : 자산감소/부채감소)

* 기간 내에 사전에 합의된 조건으로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

권.

* (차이점) 전환사채는 당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하지만 교환사채의 경우 회사가 보유한 제3의 기업 주식과 교환.

- 교환해 주는 증권은 자사의 신주일 필요가 없고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타 사 주식, 채권도 가능하다.

- 발행회사의 자산(타사 증권)과 부채(교환사채)가 동시에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 발행회사의 주식이 발행되지 않기 때문에 자본금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 신주인수권부사채(BW:bond with warrants)

* 신주인수권으로 발행회사의 신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정해진 조건(행사가격, 신주의 수)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다.

* 신주를 살 수 있는 권리인 '주식매수선택권'이라는 옵션을 따로 분리하여 판매도 가능하다.

- 발행 요건은 전환사채와 비슷하고, 표면이율은 전환사채 < 신부 인수권부 사채 < 보통 사채 순이다.

- 전환사채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면 채권은 소멸하지만, 신부 인수권부 사채는 채권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여 주식을 보유할 있고 혹은 옵션만 따로 판매할 수도 있다.

- 투자자는 주가 상승 시 옵션 행사로 주식매매차익을 얻고, 사채도 존속하므로 이자와 원금도 확보할 수 있다.

- 회사는 낮은 금리로 자금조달이 가능하고, 사채시장의 악화 시에도 발행이 가능하다.(주식 매수 옵션 때문에)

 

* 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 (전환시 : 부채감소/자본증가)

* 채권을 일정한 조건에 따라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채권과 주식의 교환비율은 미리 정해두게 된다.

- 상장 법인 및 비상장 법인 모두 전환사채의 발행이 가능하다(신용평가 등의 조건은 있다)

- 금리는 보통 사채의 표면금리 보다 낮고 가격은 높다.(발행한 회사는 전환할 수 있는 옵션을 주기 때문에)

- 회사는 금리가 낮아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조달이 가능하다.

- 주식 전환시 채권이라는 부채가 주식이라는 자본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있다.

- 주식 전환시 업무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경영권의 위험이 될 수 있다.(1주 1의결권)

- 투자자는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을 겸비한 투자수단이 될 수 있지만, 만기까지 전환하지 않는다면

   보통 사채보다 수익이 낮다.   

 

 

 

 

<4. 교환사채에서 확인해야할 6가지 정보>

 

* 사채 권면 총액 : 얼마나 자금을 조달할것인가

* 사채 이자율 : 이자

* 교환비율 : 발행한 사채금액 중 주식과교환이 가능한 비율

* 교환가액 : 교환가액은 1주당 교환되는 금액

* 교환청구 기간 : 주식으로 교환이 가능한기간

* 발행 대상자 : 사채를 사가는 주체

※ 교환가액 조정 조건 : 교환가액 조정조건을 명시한 내용인데 매우 중요함.

 

 

 

 

<5. 교환사채 매매방법>

* 다른 채권과 마찬가지로 교환사채 역시,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하다.
* 발행시장을 통하는 방법은, 증권사 홈페이지를 통해 청약해도 되기는 하지만 유통사장을 통해 나온 매물은 HTS를 활용하여 매

매하는게 더 좋다.(당연히, 최초 발행 교환사채도 HTS로 청약가능하다.)

 

 

 

 

 

 

 

 

 

 

 

 

<6. 교환사채 최종요약>

 

※ 교환사채란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또는 다른 회사 주식을 특정 가격에 교환해 주기로 하고 발행하는 회사채

 해당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신주를 인수' 받는게 아니라, 해당 기업이 소유한 제 3의 주식과 교환한다는

 점이다.

※ 교환사채의 중요한 6가지 : 사채 권면 총액 , 사채 이자율, 교환비율, 교환가액, 교환청구 기간, 발행 대상자
※ 교환가액 조정 조건 : 교환가액 조정조건을 명시한 내용인데 매우 중요함

 교환대상의 주식 가치가 높아질 경우에 추가적인 수익이 가능한 것이다.
※ 교환대상의 주식이 상승하지 않는다면, 교환사채를 유지해서 채권이자 수익을 얻으면 된다.
 채권만 봤을 때의 교환사채 수익은 다른 일반 회사채에 비해 수익이 낮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