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용어

매도시점과 매수시점을 분석할 수 있는 '이격도' [실전 주식 용어 - 이격도] 이격도란 당일의 주가수준과 이동평균선간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 주가로 나눈 비율로 측정됩니다. 이격도가 100% 이상이면 당일의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상태, 반대로 100% 이하이면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매일의 주가수준과 이동평균선간의 간격이 어느 정도 떨어지면 주가가 상승 또는 하락하여 그 간격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격도가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단기적인 매수 또는 매도의 시점 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이격이 커진다는 것은 주가와 이동평균선과의 간격이 넓어짐을 말하고, 이격이 작아진다는 것은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간격이 좁아짐을 말합니다. 이격도 분석은 일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에서 변곡점이 나타나거.. 더보기
빌린 돈을 변제하지 못 할 경우 강제 일괄 매도 처분하는 '반대매매' [실전 주식 용어 - 반대매매] 반대매매란 고객이 증권사의 돈을 빌리거나 신용 융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했는데, 빌린 돈을 약정한 만기 기간 안에 변제하지 못할 경우 고객의 의사와 상관없이 주식을 강제로 일괄 매도 처분하는 매매를 말한다. 통상 미수거래일 때에는 3일, 신용거래일 때에는 1개월~5개월 정도를 상환 기한으로 정하는데 이 기간에 상환하지 않거나 담보 가치가 일정 비율 이하로 하락할 때에는 증권사에서 임의로 반대매매를 한다. 반대매매는 미수 발생 당해 종목(복수 종목을 매수한 경우에는 종목 번호가 빠른 것부터 결제되므로 종목 번호가 나중인 것이 미수 발생 당해 종목이 됨)을 우선적으로 하게 된다. 동일 종목이 없는 경우에는 장내, 장외를 구분하지 않고 종목 번호가 빠른 것을 하게 된다. 반대매매 .. 더보기
추세가 나타나면 가장 먼저 반응하는 '볼린저밴드' [실전 주식 용어 - 볼린저밴드]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로 시장이 움직일 때에는 가장 적합한 지표가 되지만 횡보장세에서는 적절한 신호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보통 주가 이동평균, 이동평균 오실레이터,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 오실레이터 등이 이에 속한다. 볼린저밴드는 이동평균선의 상하 비율에 표준편자(Standard deviation)를 응용한 것으로, 변동성이 커지면 상하비율이 커지고 변동 성이 줄면 상하 비율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비슷한 지표로 엔벨로프밴드(Envelope band)는 이동평균선 상하 비율만 가지고 그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므로 상하비율은 늘 일정하다. 엔벨로프밴드는 이동평균선의 이격도개념을 개량한 지.. 더보기
주식매매시 가장 먼저 알아야할 '주식 호가' [실전 주식 용어 - 호가] 주식 호가라는 것은,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 가격과 수량 단위를 제시하는 것을 뜻한다. 주식거래는 거래의 효율성을 제고 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표준화 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 중에 하나가 바로 호가 단 위이다. 예를들어 13,250 원으로 제시할 수는 있어도, 13,249원으로 제시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너무 세분화 되면, 거래의 효율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주식의 호가 단위는 크게 가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재 주식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 주식 호가 단위는 이렇게 가격대가 5,000원 미만인 주식은 5원단위, 10,000원 미만인 주식은 10원 단위, 50,000미만인 주식은 50원 단위, 100,000원 미만인 주식은 100원 단위, 500,000원.. 더보기
주식투자자들이 가장 많은 실수를 범하는 '신용거래' [실전 주식 용어 - 신용거래] 신용거래란 고객이 매매를 결제함에 있어 위탁계좌에 일정한 보증금을 납입한 후 증권회사로부터 현금이나 유가증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융자(대주)받아 결제하는 거래를 말한다. 쉽게말해 보증금을 담보로 투자금을 빌려서 실제 내가 보유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종목마다 신용거래 퍼센트가 다른데 신용 30%인 종목의 경우 현금 100만원이 있다면 300만원 정도로 신용매수가 가능하다. 계좌에 현금이 없다면 당연히 신용매수는 불가능 하게 되는 것이다. 신용을 사용한 매수일 경우 기본적으로 일정 담보비율 이상을 유지해야하는데 만약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담보부족으로 인해 보유주식 일부를 처분하거나 아니면 신용매수분을 줄이거나 추가로 현금을 입금해야 한다. 그렇지 .. 더보기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환기 시키기 위해 지정하는 종목 '투자주의 환기종목' [실전 주식 용어 - 투자주의 환기종목] 투자주의 종목은 투기적이거나 불공정거래의 개연성이 있는 종목을 말하여 일반 투자자들의 뇌동매매를 막고 잠재적 불공정거래 행위자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기 위하여 시장감시위원회에 의해 지정되는 종목이다.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되는 사유는 소 수지점 거래집중, 소수계좌 거래집중, 종가급변, 상한가잔량 상위, 단일계좌 거래량 상위,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투자경고종목 지정해제 등이 있다. 투자주의 종목은 1일간 지정된다. 코스닥시장의 건전성 향상을 위해 주식 투자자가 기업계속성 및 경영투명성에 주의를 요하는 기업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제 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관리종목 지정이나 상장폐지 이전에 주식 투자자가 기업계속성 및 경영투명성에 주의를 요하는 기.. 더보기
과하면 독이되고 적절하면 경제를 잘 돌아가게 해주는 '부채비율' [실전 주식 용어 - 부채비율] 부채비율은 자본구성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중에서 부채가 어느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의 안전성을 분석할 때에 주로 보는 것이 재무비율이기 때문이다. 타인자본 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금융업일 경우에는 부채비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투자자는 기업이 속한 업종에 따라서 부채비율에 대 한 해석을 달리 해야 한다. 따라서 부채비율을 분석할 때에는 업종별 대표종목의 부채비율을 확인하고 그와 맞게 비교해서 종목 의 부채비율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좋다. 부채비율을 적정수준이하로 유지해야하는 이유는 부채의 사용이 기업의 미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채는 만기가 있어 정해진 날짜에 반드시.. 더보기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파생상품' [실전 주식 용어 - 파생상품]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 상품을 말한다. 상품 가치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으로부터 파생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파생상품’이라 이름 붙여졌다. 파생상품 거래의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에는 주식ㆍ채권ㆍ통화 등 금융 상품, 농ㆍ수ㆍ축산물 등 일반 상품, 신용위험 이외에 자연ㆍ환경ㆍ경제 현상 등에 속하는 위험으로서 합리적이고 적정한 방법에 의해 가격ㆍ이자율ㆍ지표 ㆍ단위 산출이나 평가가 가능한 것은 모두 포함된다. 또한 파생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옵션선물, 선물옵션, 스왑옵션 등)도 가능하다. 파생상품은 금융시장 참가자에게 폭넓은 위험 헤지(hedge)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위험 선호도에 따라 자산을 쉽게 구성하게 한다. 즉, 위험 회피자는 자산.. 더보기
주식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자중 하나인 '기관투자자' [실전 주식 용어 - 기관투자자] 주식투자를 주업무로 하는 은행ㆍ보험회사ㆍ투자신탁ㆍ증권회사ㆍ신용금고 등이 기관투자자 해당하며, 그밖에 각종 연금ㆍ기금ㆍ재단기금도 성격상 이에 속한다. 기관투자자는 위탁증거금 면제, 배당수익에 대한 비과세, 배당금의 익금불산입 등 제도적인 면세혜택을 받고 있는데 이 혜택과 함께 주식을 매매하여 수익을 내는 것 못지 않게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고, 공정한 시세를 형성해야 하는 등의 책임도 따른다. 최근 기업인수합병(M&A)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기관투자가가 무제한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기관은 투자이익을 목적으로 고객의 돈을 운용하기 때문에 다른 회사의 경영권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다. 기관투자자에 종류에는 증권사 .. 더보기
아무리 종목이 급등한다해도 잡지 말아야 할 '상투' [실전 주식 용어 - 상투] 주가변동의 폭이 상하로 심하게 오르락 내리락 할 때, 가장 고가권의 주가수준을 상투라고 하며, 상투에서 주식을 산 경우를 상투잡 았다고 한다. 상투와 반대되는 개념은 '바닥'이라 부른다. -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의 이격이크다. - 마지막 고점 부근에서 가장 큰 시세를 준다. - 거래량 증가와 함께 나타난 장대음봉은 세력이 물량을 털었단 의미가 강하므로 매도하는 것이 좋다. - 고점에서 5일선과 20일선 데드크로스날때는 매도시점으로 본다. - 주가 상승 요인인 재료에 대한 기사(TV, 뉴스 등)가 나온다면 위험신호다. - 개인투자자들이 방금 들은 기업의 호재는 이미 주가에 다 반영 된 이후다.(소문이 퍼진 것은 이미 주가에 다 반영 됐단 뜻) * 차트를 보면 2.. 더보기